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준비하다 보면 생각보다 복잡한 절차와 방대한 자료 때문에 막막함을 느끼기 쉽습니다.
특히 RPS 제도, REC 발급, 계약 진행까지 여러 기관을 거쳐야 하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되는 경우가 많죠. 이런 불편을 덜어주는 곳이 바로 신재생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입니다.
이 플랫폼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자가 한 곳에서 모든 절차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온라인 종합 시스템입니다.
해당 글의 목차
- 1 신재생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이란?
- 2 포털에서 할 수 있는 일
- 3 이용 방법과 유용한 팁
- 4 신재생 사업을 준비한다면 필수 포털
- 5 연관포스팅
- 6 현대자동차 e캠퍼스 러닝라운지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campus.hyundai.com)
- 7 국민동의 청원 홈페이지 바로가기(petitions.assembly.go.kr)
- 8 경찰청 웹메일 주소 (https://mail.police.go.kr/mail/login)
- 9 하이큐 1기 다시보기 지원 OTT 사이트
- 10 퇴직경찰관을 위한 OB복지포탈 (https://obpolbokji.ezwel.com)
- 11 육군체력단련장 홈페이지(armywelfaregolf.mil.kr/) 바로가기
- 12 멜론 티켓 홈페이지 (https://ticket.melon.com/)
- 13 대주주 양도세 국민청원 홈페이지, 국회 청원 참여하는 법
신재생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이란?
신재생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은 전력거래소, 한국전력공사, 한국에너지공단과 연계해 운영되는 신재생에너지 통합 플랫폼입니다.
이곳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와 관련된 사업 절차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어, 사업자는 사이트 하나만으로도 대부분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업 신청부터 관리, 점검, REC 발급, 거래까지 한 번에 이어지는 시스템이라 초보 사업자에게도 큰 도움이 됩니다.
포털에서 할 수 있는 일
신재생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은 단순히 정보를 모아둔 홈페이지가 아닙니다. 실제로 사업자가 필요한 모든 과정을 온라인에서 처리할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 RPS 사업 절차 지원: 사업 계획 수립부터 신청, 각종 점검과 심사, 발전량 관리까지 모든 단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급인증서(REC) 발급·거래: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얻은 REC(공급인증서)를 발급받고, 현물시장 입찰이나 양방향 거래까지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전자계약과 민원 처리: 전자서명으로 계약을 완료하고, 필요한 서류 접수나 문의까지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어 현장 방문이 필요 없습니다.
- 사업 정보 통합 관리: 내 사업의 현황, 정부 공지, 자료실, 시장 시세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신규·기존 사업자 모두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이용 방법과 유용한 팁
이 포털을 이용하려면 먼저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사업자등록증, 공인인증서 등의 기본 서류가 요구되며, 신규 사업자는 한국에너지공단 RPS 사업자 등록을 마쳐야 포털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 후에는 REC 현물시장 거래, 전자계약, 사업 점검 확인 등 거의 모든 업무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문의가 필요하다면 전력거래소(1600-9617)는 시장 운영과 거래, 한국에너지공단은 제도 관리와 인증서 발급, 한국전력은 PPA 계약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빠르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재생 사업을 준비한다면 필수 포털
신재생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시작하거나 운영하는 데 있어 사실상 필수적인 업무 허브입니다.
RPS 제도 참여, REC 거래, 전자계약까지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관심이 있거나 이미 진행 중이라면, 공식 홈페이지 https://onerec.kmos.kr/portal/index.do에 접속해 서비스를 직접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한 번만 익숙해지면, 복잡했던 신재생에너지 업무가 훨씬 간단해질 것입니다.